[중학영문법3800제 3학년]부가의문문
2021년 11차 개정 중학영문법 3800제로 강의를 포스팅합니다.
영어문법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알아야할 부분을 최대한 쉽게 설명했고, 기존에 고등학교 올라가기 전에 전체적인 문법정리가 필요한 학생들에게 유용한 강의가 될 것입니다. 개념별로 강의가 포스팅되기 때문에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해당 부분만 반복학습을 통해 문법을 차근차근 익혀 나가시면 됩니다.
오늘의 핵심문법: 부가의문문
부가의문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문문과 일반문장의 구조를 기억해야합니다. 밑에 정리해볼게요
일반문장의 어순: S+V~.
일반의문문 어순: V+S~?
부가의문문 어순: S+V,~?
일반문장의 어순은 주어와 동사로 시작하여 문장을 써줍니다. 일반의문문은 일반문장의 동사에 Be동사를 써주었으면 Be동사를 앞으로 빼면되고, 일반동사를 썼으면 do/does/did를 붙여주고 물음표로 문장이 끝나게 됩니다.
반면에 부가의문문의 어순은 처음은 일반문장이랑 똑같이 주어와 동사로 시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것을 의문문으로 만들고 싶으면 문장끝에 콤마(,)를 찍고 부가적인 말을 붙여주고 물음표로 끝내주면 부가의문문이 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일반문장: Tom is smart
일반의문문: Is Tom smart?
부가의문문: Tom is smart, isn`t he?
부가의문문: Tom isn`t smart, is he?
부가의문문은 위 처럼 두 가지 형태로 쓸 수 있습니다. 감이 좀 오시나요? 일반문장에서 be동사를 맨앞으로 빼면 우리가 원래 알고 있던 일반의문문이 되죠. 근데 부가의문문은 쓰는 약간 달라요. 위처럼 우선 일반문장을 그대로 써줍니다. 그리고 써준 일반문장이 긍정형이면, 부가의문문은 동사를 부정형으로 써줍니다.
예문에서 일반문장 동사는 "is"라는 긍정을 썼으니까 콤마(,)뒤 부가의문문에서는 "isn`t"라는 부정으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Tom을 대명사 he로 받을 수 있죠. 그래서 위와 같은 긍정문이 쓰였을 때는 부가의문문을 "isn`t he?"라고 써주게 되는 겁니다. 반대로 일반문장에 부정문이 왔으면 부가의문문은 긍정으로 써줍니다. 그래서 부가의문문을 공식화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긍정->부정
부정->긍정
이해가 되시나요? 부가의문문은 문법에서 쉬운부분에 속하기에 쉽게 공부하실 수 있을거에요! 자세한 내용은 강의를 참고해 주세요!